본문 바로가기
입시º교육

광주과학고(영재고), 전남과학고 대비 입시 설명회 후기

by 조렌버핏 2022. 12. 9.
반응형

광주에 살다 보니 아무래도 지역할당이 있는 광주과학고(영재고)를 준비하는 게 유리할 것 같아서 2022년 12월 9일(금) 광주과학고(영재고), 전남과학고 대비 입시 설명회를 다녀왔습니다.

입시 설명회 처음 가봤는데 50명 정도의 어머님들이 와 계셨고 어린 자녀를 둔 어머님도 계신 것 같더라고요.

 

1. 담당 선생님

수학: 최 00 수학학원 원장

과학(물리) 정 00 미래 특목 과학학원 원장

과학(화학) 문 00 과학학원 원장

과학(지구과학) 조 00 과학학원 원장

과학(생물) 박 00 과학학원 원장

☞ 지구과학을 담당하시는 원장님은 오늘 개인 사정으로 참석하지 못하였지만 다른 원장님이 워낙 다양한 정보와 좋은 얘기를 많이 해주셔서 좋았습니다.

 

2. 기간 

2023년 1월~7월 파이널반 과정

8월~ 2024년 영재고 합격생 내신반, 전과고 대비반(9월 개강), 전과고 합격생 대비반(12월 개강)

☞ 예비 중3 대상 파이널반이니만큼 각 학원 원장님이 협업해서 시간 겹치지 않게 준비해주신 것 같고요.

     방학기간은 그래도 저희 자녀와 학원 일정이 겹치지 않아서 괜찮은데, 평일은 학원 조정이 필요할 것 같더라고요.

 

3. 2023년 광주 영재고 입시 결과(합격률)

  -  총 준비생: 50명

  - 2차 합격: 33명 (66%)

  - 3차 합격: 28명 (56%)

    ☞ 전남과고 발표가 며칠 전에 나와서 합격률 데이터가 없어서 아쉬웠습니다.

    ☞ 광주과학고 2023년도 경쟁률은 전국단위 4.4:1 , 지역인재 3.6:1로 매년 조금씩 지원자 수가 줄고 있더라고요.

         아무래도 과학고 의대 입시 제한으로 최상위권 학생들은 일반고로 가는 추세라고 하더라고요.

 

4. 영재고 2차 시험  2022년 기출 분석 및 문제 유형

(수학)

  - 기하(3문항), 조합(2문항), 대수(2문항), 정수(1문항) / 총 8문항

  - 고등과정이 살짝 녹아 있고 수학 1의 수열과 공간도형의 정사영 기출과 경우의 수가 출제.

  - 창의성 문제 유형과 과거 서울과학고, 경기과학고 기출문제 유형이 변형되어서 출제되었다고 하더라고요.

 

5. 영재고 2차 시험 2023년 기출 분석 및 문제 유형

(수학)

  - 기하(3문항), 조합(3문항), 대수(1문항), 정수(0문항) 총 7문항

  - 융합형으로 출제되어 과거 문제 유형보다 어려움(도형과 경우의 수, 도형과 함수, 정수와 경우의 수 융합형)

  - 역시나 경우의 수가 중요!!! 강조 또 강조하셨어요.

  - 서울과학고, 경기 과학고 기출문제 유형, KMO 유형 문제가 출제되었다고 하더라고요.

 

6. 영재고 3차 시험 2022년 기출 분석 및 문제 유형

(수학)

  - 삼각뿔의 부피 계산문제(서울과학고 기출)

  - 정오각형 위를 정사각형이 굴러갔을 때의 위치 파악하는 문제

 

7. 영재고 3차 시험 2023년 기출 분석 및 문제 유형

(수학)

  - Josephus 문제(Kaist 기출) 응용

  - 정삼각형 내에 주어진 점을 지나는 등변 사다리꼴 및 특정한 도형 만들기

    ☞ 2차 시험에서 합격하면 3차 시험은 난이도가 어렵지 않아 잘만 하면 합격은 어렵지 않을 거라고 하셨어요.

 

(과학)

  - 통합형 문제로 종합적 사고력을 요구하는 방식의 문제가 출제되어 물리 화학만 공부하지 말고 편중 없는 학습 필요

 

8. 선행 및 합격을 위한 자세

(수학)

  - 수학 상, 하까지는 공부는 필수(실력 정석)

  - 수학 1의 수열, 확률통계의 순열조합, 기하의 공간도형

  - 성실성과 논리적인 부분 필요함 (노트 정리, 서술형 문제이기에 문제 풀이과정을 쓰는 것 중요)

  - 새로운 유형의 문제(경시대회 기출 및 KMO, 경기과학고, 서울과학고 기출문제, 미국 수학경시 수학 기출문제집 추천!)

    ☞ 실력 정석은 전남과학고 수업 때도 학교 책으로 사용된다고 하네요.

 

(과학)

  - 물리, 화학, 생물, 지구과학 I 까지는 공부는 필수

  -과학 관련 체험학습을 통해 자소서 준비를 하라고 하시네요.(천문대, 카이스트, 지스트, 영재고 방문하기 등)

  - 의자와 엉덩이 물화 일체가 되는 삶과 자신만의 풀이집, 용어 정리 등 공부습관이 필요하다고 하네요. ㅎ

 

(학부모의 자세)

  - 자녀를 믿어주고 잔소리하지 말기

  - 내가 보내고 싶은 건지 자녀가 가고 싶은 건지 진지하게 고민해보기(제 얘기가 아닌가 뜨끔했어요. ㅎ)

  - 자녀에 대한 신뢰가 필요하고 비난하기보다는 칭찬해주기

  -학업 관련 자녀와의 충돌이 있을 때 아이만 탓하지 말고 나를 돌아보자.(학습일정, 학습량은 자녀와 상의해서 결정하기)

  - 학습에 대한 얘기만 하지 말고 아이에 대한 이해(뭐가 문제인지?)와 목표 설정을 위한 대화를 자주 하기

  - 학교 담임선생님과 소통이 중요하고 학교에 수상활동을 많이 할 수 있도록 건의하기

    ☞ 저희 자녀가 다니는 학교는 수상활동이 적더라고요.

 

9. 2022년 광주 과학고 주요 대학 입학 실적

  - 서울대(33명 합격자), 카이스트(15명 등록자), 포스텍(2명 등록자)

     광주과학고는 서울대 합격자가 많은데 전남과학고는 카이스트 합격자가 많다고 해서 카이스트를 가려고 전남과학고  지원하는 학생도 있다고 하네요.

 

9. 개인적인 생각

  - 파이널반을 준비하면 수학, 과학에 올인해야 돼서 다른 과목을 선행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어요. 방학 중에 타과목 선행을 준비하거나 저희는 중등 인강 엠 000을 활용해보려고 해요.

  - 방학기간 외에 학교와 파이널 학원 일정을 자녀가 소화해 낼 수 있을까 걱정이 들더라고요. 수학 3시간, 과학 4시간 

    (엉덩이 힘이 있고 성실하면 가능할 듯한데... )

  - 과학고는 진짜 아무나 보내는 게 아니구나란 생각과 합격의 기쁨도 잠시 고생의 길을 자녀와 같이 걸어야 된다는...ㅡㅡ;

  - 수학, 과학을 좋아해서 과학고 도전을 하지만 실패하더라도 큰 경험을 배운 거라 생각할 것 같아요.

     (내신 관리하는 방법, 수행평가 노력하기, 수상하기, 독서록 작성, 학교 지각하지 않기 등...)

 

 

 

 

 

반응형

댓글